카테고리 없음2023. 3. 9. 19:51

Q>

세무사님 안녕하세요 노무 퇴직 연차수당 등 관련 된 질문 드려도 될까요?

3월 3일 퇴직자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거래처 질문사항) 
 3월 근무분 급여 산정관련하여, 궁금한 부분이 있습니다. 
3월 1일은 삼일절이고, 3월 2일은 연차, 3월 3일 퇴사인데요...
이럴 경우 3일치 근무분이 적용을 해야하는지요?

그리고, 2021년부터 2023년 3월 3일까지 연차를 총 27개를 사용하였는데, 
연차 수당이 발생되는지? 또는 초과 사용이 되었다면, 공제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

 

A>

해당 질의와 관련하여 3월3일 근무여부에 따라 3일치 근무분 적용 여부가 결정될 듯 합니다.

더불어 연차휴가 발생은 입사일이 언제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연차수당에 적용되는 통상임금도 임금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해당 내용들은 전문가인 노무사를 통해 자문 받으시는 것이 적절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노무사님은 언제든지 소개드릴수 있습니다^^

Posted by 박정규 세무사
카테고리 없음2023. 3. 6. 17:14

Q1>

월급 120만원에 20만원 비과세 처리인데, 총지급금액에 120만원이 아닌 100만원으로 기입하는 게 맞을까요?
+ 일전에 소득세 0원으로 신고하라고 하셨는데, 창에서 0을 입력하면 글자가 사라집니다😭

소득세가 빈칸이어도 상관없다는 말씀이시지요?

 

Q2>

2월 대표 월급 지급 (건강보험 미적용)
3월 대표 월급 지급 (건강보험 미적용)
4월 대표 월급 지급 (건강보험 적용)

-> 건강보험 사업장 자격이 늦게 적용되어 이렇게 될 듯한데, 괜찮을까요?

 

Q3>

개인으로 프리랜서에게 월급을 줬을 때는 매달 '간이지급명세서'를 발급했습니다. 법인으로 로그인하니 아예 그 메뉴가 없는데, 그러면 '간이지급명세서'는 발급할 필요가 없나요?

 

A1>100만원으로 신고하는 건 맞습니다. 혹시 숫자를 입력하지 않으면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지 않는 걸까요? 다음 화면으로 넘어간다면 그대로 신고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A2>

네 괜찮습니다. 매년 이맘때에 보수총액신고를 하는데 그 때 해당연도의 총 보수를 신고하여 적용되지 않은 달의 보험료가 정산되는 제도가 있으니 그 부분은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A3>

아니요! 간이지급명세서는 지급내역이 있는 모든 사업장에 해당됩니다. 근로소득은 반기에 한 번, 그 외 소득은 지급이 있을경우 매월 제출 하시면 됩니다. 

Posted by 박정규 세무사
카테고리 없음2023. 2. 27. 16:34

Q>

안녕하세요 가지급금 관련해서 질문을 드립니다.
지분 100%을 소유하고 있는 대표이사가 회사에 가지급금이 있는데, 대표이사에서 물러나면서 감사로 취임하려고 합니다.
이 경우 가지급금을 계속 유지할 수 있을까요?

 

A>

특관자 대여금인 상태에서 특관자가 해소되면 양편 조정해서 상여처분을 해야하는데요...회사 감사면 임원으로서 계속 특관자 지위가 유지 되니까....계속 가지급인정이자 계산하셔야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Posted by 박정규 세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