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2025. 3. 17. 22:09

Q>

인수 예정 사업체 정보
- 현재 업종 : 필라테스/체력단련시설운영업(종된사업장)
- 인수 후 변경 예정 업종 : 스포츠시설(PT샵)
- 현재 사업자 형태 : 법인
- 인수 후 변경 예정 형태 : 신설 법인 또는 개인 사업자 (아직 결정 전

주요 문의 사항
1. 해당 업종으로 청년 창업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여부

2. 만약 현재 계획 중인 업종/업태로는 세제 혜택이 어렵다면, 적법한 범위 내에서 다른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는 대안이 있는지

 

A>

 

1. 해당 업종으로 청년 창업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여부

 PT샵이 청년창업중소기업 세액감면을 받기 위해선 체력단련시설운영업(업종코드 924305)으로 등록해야합니다.
그러나 인수 전후의 업종 코드가 동일하기 때문에 창업이 아닌 기존 사업의 승계로 간주될 가능성이 높아 창업 세액 감면 혜택을 받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2. 만약 현재 계획 중인 업종/업태로는 세제 혜택이 어렵다면, 적법한 범위 내에서 다른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는 대안이 있는지

 (1) 승계한 자산 가액이 총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30% 이하인 경우엔 창업으로 인정받을수 있습니다.
동일 장소에서 동일 업종으로 운영하는 경우라면 이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창업으로 인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승계한 자산 가액 = 인수한 시설(장비) + (바닥)권리금
총 자산 가액 = 승계자산 + 신규 시설(장비) + 인테리어비용

 (2) 법인을 먼저 신설하고, 신설 법인 명의로 사업장 임대차 계약과 장비 구입, 권리금 지급하는 것이 창업으로 인정받을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기존 사업장 인수 후 변경하는 것보다 창업으로 인정받을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Posted by 박정규 세무사
카테고리 없음2025. 3. 14. 14:35

0000

 아파트 양도소득세 세무사 의견서
         
Ⅰ. 기초정보        
1. 사실관계         
         
주택 소재지 서울특별시 00구 0동 100번지 00 100동 006호 비고
종전주택 취득일 2016년 10월 05일 등본 확인
종전주택 관리처분계획인가일 2017년 10월 26일 구청 확인 완료
재건축 후 전입일 2024년 06월 28일 초본 확인
재건축 후 전출일 2025년 02월 09일 초본 확인
양도일 2025년 02월 28일 매매계약서상 잔금지급일
보유기간 8년  
종전주택 취득가액 360,000,000 매매계약서 참고
종전주택 필요경비 5,619,000 취득세 등
양도가액 1,195,000,000 12억 이하
용도 아파트  
1세대1주택 여부  
조정대상지역 여부  
건물면적 128.948㎡ 토지면적 42.44㎡ 부수토지 면적 증가 X
         
2. 특이사항 정리        
- 매매계약서 상으로는 조합원입주권을 양도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질은 재건축 완료 후 주택을 양도하는 것임(000님 확인 및 초본상 전입일 확인 완료)
- 부수토지 면적(기존): 42.44㎡ → 부수토지 면적(재건축 후): 27.981㎡(부수토지 면적 증가 없음)    
- 양도 당시 보유중인 다른 주택 없음      
         
Ⅱ. 양도소득세 계산안        
1. 기본사항        
구분 00아파트 비고
종전주택 취득가액 360,000,000 종전주택 매매계약서
종전주택 필요경비 5,619,000 취득세 등
종전주택 취득일 2016년 10월 05일  
종전주택 관리처분계획인가일 2017년 10월 26일  
종전주택 평가액(권리가액) 329,375,841 신규주택 매매계약서
분담금(납부) 108,129,000 신규주택 매매계약서
옵션비용 및 취득세 296,000 신규주택 매매계약서
기타필요경비 5,970,000 공인중개사 수수료 비용
양도일자 2025년 02월 28일  
양도가액 1,195,000,000  
         
2. 양도소득세 산출        
구분 관리처분계획인가일 전 관리처분계획인가일 후  
종전주택분 종전주택분 청산금 납부분 합계
양도가액 329,375,841 1,195,000,000  
취득가액 360,000,000 437,504,841  
기타필요경비 5,619,000 6,266,000  
양도차익 -36,243,159 565,563,424 185,665,735 714,986,000
과세 양도차익 0 0 0 0
비과세 양도차익 -36,243,159 565,563,424 185,665,735 714,986,000
보유기간 8년 7년  
거주기간 0년 0년  
장기보유특별공제                                          -                                            -                                       -                                       -
양도소득금액                                          -                                            -                                       -                                       -
기본공제                                                                                                                                   -                                       -
과세표준                                                                                                                                   -                                       -
세율 0% 0%
누진공제                                                                                                                                   -                                       -
산출세액                                                                                                                                   -                                       -
지방소득세액                                                                                                                                   -                                       -
         
Ⅲ. 결론        
- 양도일 현재 1세대 1주택자 비과세 요건을 충족하므로 양도소득세가 과세되지 않습니다.    
(1) 보유기간 요건 충족 → 8년 보유      
(2) 1세대 1주택 요건 충족 → 000님께 확인 완료      
* 준공된 재건축 아파트를 이전고시 전에 양도하는 경우 미등기양도자산으로 보지 않음(부동산거래관리과-10, 2010, 01, 05)  
         
         
Posted by 박정규 세무사
카테고리 없음2025. 3. 3. 13:55
                   
  별도 세대 독립세대 양도소득세 세무사 의견서  
   
                   
                   
                   
  Ⅰ. 개요                
                   
  0. 타임라인                
                   
  2020.05.13 2020.10.23     2025.01.02  
                   
                   
  계약금 지급 매수     매도  
    2020.06.19 ~ 2022.09.26      
                   
                   
    조정대상지역 지정      
                   
                   
  1. 기초정보                
                   
           양도자 양수자 비고  
           000 000    
           경기도 00시 00로 000번길 00,   1층 경기도  00시 00구 00로 100,     00동 001호    
   
           
  전 화 번 호 / 010-    
                 
        경기도 00시 00구 00동 700번지 00마을 00 1000동 1000호  
  취 득 시 기 2020년 10월 23일 취 득 가 액 342,000,000원  
  양 도 시 기 2025년 1월 2일 양 도 가 액 495,000,000원  
  보 유 기 간 4년          84.99 ㎡  
  조 정 대 상 지 역 여부 O          아파트  
                   
                   
  Ⅱ. 양도소득세 산출              
                 
  구분 금액 비고  
  양도가액 495,000,000    
  취득가액 347,636,540 양수금액+취득 부대비용  
  필요경비 2,190,300 양도시 중개비용 + 국민주택채권  
  양도차익 145,173,160    
  장기보유특별공제 11,613,853 장기보유 특별공제 표1 적용 (4년이상 보유 8%)  
  양도소득금액 133,559,307    
  기본공제 2,500,000    
  과세표준 131,059,307    
  세율 35%    
  누진세액공제 15,440,000    
  양도소득세 30,430,750    
  지방소득세 3,043,070 산출세액 * 10%  
  합계 33,473,820 납부기한 2025년 03월 31일  
                 
                 
                   
                   
  Ⅲ. 쟁점사항                
                   
  [쟁점 1] 조정대상지역 해당 여부              
                   
  * 비과세 적용 1세대 1주택 요건              
    : 양도일 현재 1세대가 1주택을 보유한 경우로서 보유기간이 2년 이상 (+조정지역에 해당하는 부동산의 경우 거주기간이 2년 이상)    
     → 양도대상 아파트에 실 거주한 기간이 없으므로 거주기간 요건 필요여부가 쟁점        
                   
  ① 조정대상지역 해당 여부 판단 시기는 취득일(잔금지급일)          
    → 아파트 취득당시 조정대상지역에 해당            
                   
  ② 다만, 거주자가 조정대상지역의 공고가 있은 날 이전에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을 지급한 사실이 증빙서류에 의하여 확인되는 경우로서  
  해당 거주자가 속한 1세대가 계약금 지급일 현재 주택을 보유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조정대상지역 지정 전과 동일하게 봄    
    → 1) 조정대상지역 공고 전 매매계약 체결 및 계약금 지급 -> O          
        2) 계약금 지급일 당시 무주택자 여부 -> △            
  원칙 : 계약금 지급일 당시 1주택자인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였으므로 1주택자에 해당하여 요건충족 X      
  다만, 부모님과 별도의 생활자금으로 생활하는 등 별도세대임을 주장하는 경우에는 계약금 지급일 당시 무주택자에 해당하여 요건 충족 O  
                   
  [쟁점 2] 취득시 별도 세대였음을 주장하는 경우            
                   
  ① 취득시 세대주는000님이고 주택 소유주는 부모님 -> 별도 세대였음을 주장하는 경우 000님이 계약금 지급당시 1세대 무주택자가 되어,  
    1) [쟁점 1]의 ②의 단서 조항이 적용되어 조정대상지역에서 제외되고,           
    2) 거주기간 요건이 필요하지 않아 보유기간 2년 이상이므로 1세대 1주택 비과세 적용이 됨 → 납부세액 0원      
                   
  ② 판례(대법원 1989.5.23. 선고 88누3826 판결)            
      생계를 같이하는 동거가족인가의 여부의 판단은 그 주민등록지가 같은가의 여하에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한 세대내에서 거주하면서 생계를  
     함께하고 동거하는가의 여부에 따라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③ 소명 자료 검토사항              
    1) 000님은 근로소득(6-7천만원), 어머니는 연금소득(3백만원), 아버지는 소득 없음 (2019년, 2020년)      
    2) 주거비, 의료비, 생활비 등을 각자 결제한 카드, 이체 내역 필요          
    3) 000님의 근로소득 연말정산시 부모님을 부양가족으로 하여 공제를 받았는지 여부 확인 필요      
                   
                   
  Ⅳ. 의견                
                   
  * 양도소득세 신고시, 취득당시 별도세대임을 증명하는 서류들(소득금액증명원, 카드사용내역, 통장 지출내역, 주민등록초본)을 완비한 후  
  입증한다면 별도세대임을 인정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 따라서, 준비 가능한 서류의 범위와 내용을 토대로 별도세대임을 주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위 내용은 현재(2025.02.05) 시행중인 법령 등에 근거하여 작성 되었습니다. ***     
Posted by 박정규 세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