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2024. 7. 18. 18:13
00동 1030-1 106동 004호 부부간 아파트  부담부증여시 예상세액 검토(안)
               
Ⅰ. 사실관계            
               
  증여물건 소재지 서울 00구 0016길 1 0000 1차 106동 004호  
  증여일 2024년 8월 가정  
  증여자  사실혼 배우자(혼인신고 X)  
  수증자 000  
  다주택여부 X(1주택자)  
  당초 취득일자 2019년 07월 05일  
  취득금액 617,000,000  
  기준시가 651,000,000  
  매매사례가 1,120,000,000  
               
  구분 부동산 지분 50%// 채무 100% 부담부증여  
  증여재산평가액 유사매매사례가액(206동 404호)                                                  560,000,000  
   
  채무부담액  수증자 100프로 부담                                                   464,000,000  
  10년 이내 증여재산 가산액                                                                                                             - (가정)
  10년 이내 증여재산 기납부세액                                                                                                             -  
               
  * 23년 10월 결혼 후 현재 민법상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사실혼관계 배우자에 해당    
  * 쟁점 00동 0000-1 006동 004호 아파트는 신랑 명의 부동산으로 2019년 7월 매매 취득  
  * 쟁점 아파트 외 소유하고 있는 다른 주택 없음 : 1세대 1주택자에 해당    
  * 부담부증여시 채무부담액(대출) 464,000,000원        
               
Ⅱ. 증여세액 산정 근거          
               
  구분 부담부증여  
  증여재산가액                                                                                              560,000,000  
  부담부증여시 인수채무액                                                                                              464,000,000  
  증여세 과세가액                                                                                                96,000,000  
  10년이내 증여재산가산액                                                                                                             - (가정)
  증여재산공제                                                                                                             -  
  감정평가수수료 등                                                                                                             -  
  과세표준                                                                                                96,000,000  
  세율 10%  
  누진세액공제                                                                                                             -  
  산출세액                                                                                                  9,600,000  
  세대생략할증과세                                                                                                             -  
  산출세액 소계                                                                                                  9,600,000  
  10년이내 증여재산 기납부세액                                                                                                             -  
  신고세액공제                                                                                                    288,000  
  신고납부세액                                                                               9,312,000  
  * 증여재산가액의 산정  
  [원칙] 증여일 현재 재산의 시가          
  [시가로 인정되는 것: 증여일 전 6개월, 후의 3개월의 다음의 금액]    
  ① 매매사실이 있는 경우의 그 가액 (해당 없음.)        
  ② 감정가액이 있는 경우의 그 가액         
  ③ 수용·경매·공매사실이 있는 경우 보상·경매·공매가액 (해당 없음.)    
  ④ ①~③이 없는 경우 유사매매사례가액         
               
  * 배우자 증여재산공제(6억)는 민법상 혼인관계에 있는 배우자에 대해서 적용(상증 집행기준 53-0-2)  
               
Ⅲ. 취득세 산정근거          
               
  - 부담부증여시            
  구분 증여분 채무인수분  
  시가인정액                            96,000,000                                                  464,000,000  
  취득세율 3.5% 1.0%  
  취득세                              3,360,000                                                     4,640,000  
  농어촌특별세                                         -                                                                 -  
  지방교육세                              1,440,000                                                        464,000  
  총부담세액                       4,800,000                                          5,104,000  
               
Ⅳ. 양도소득세 산정근거          
  구분 양도소득세 비고  
  양도가액                           464,000,000  채무액   
  취득가액                           511,228,571    
  필요경비                                         -    
  양도차익 -                          47,228,571    
  장기보유특별공제                                         -      
  양도소득금액 -                          47,228,571    
  양도소득기본공제                                         -    
  과세표준                                         -  1세대 1주택 비과세   
  세율 6%    
  산출세액                                         -    
  세액감면                                         -    
  결정세액                                         -    
  지방소득세                                         -    
  총부담세액                                  -  납세의무자 : 000   
  * 1세대 1주택 비과세요건을 충족하여 양도소득세가 비과세되는 경우 증여자(000님)에게 양도소득세 발생하지 않음  
               
Ⅴ. 11억에 매도시 양도소득세 산정근거        
  구분 양도소득세 비고  
  양도가액                        1,100,000,000  가정   
  취득가액                           560,000,000    
  필요경비                            11,200,000  취득세 2%   
  양도차익                           528,800,000    
  장기보유특별공제                            52,880,000  보유기간 5년   
  양도소득금액                           475,920,000    
  양도소득기본공제                              2,500,000    
  과세표준                                         -  1세대 1주택 비과세(거주기간, 보유기간 충족)   
  세율 6%    
  산출세액                                         -    
  세액감면                                         -    
  결정세액                                         -    
  지방소득세                                         -    
  총부담세액                                  -  납세의무자 : 000   
               
Ⅵ. 총부담세액 비교          
               
  - 부담부증여시            
  구분 000님 000님  
  증여세                              9,312,000                                                                 -  
  취득세 (무상취득분)                              4,800,000                                                                 -  
  취득세 (채무부담분)                              5,104,000                                                                 -  
  양도소득세                                         -                                                                 -  
  총부담세액                     19,216,000                                                     -  
  합계                     19,216,000                                                     -  
               

 

Posted by 박정규 세무사
카테고리 없음2024. 7. 7. 20:46
재건축 아파트 1세대 1주택 비과세 판단(안)  
           
[Q] 재건축으로 취득한 아파트를 1세대 1주택 비과세로 양도하고 싶습니다.   
      거주요건 충족을 위해 일부 세대원만 거주해도 될까요?  
           
[A] 원조합원으로 취득한 신규주택의 취득시기는 구주택을 취득한 때(2012.02.03)로  
     조정대상지역 지정 전이기 때문에 거주요건을 충족하지 않아도 됩니다  
     다만, 증가한 부수토지 면적만큼은 취득시기를 건물의 준공일(2024년말 예정)로 보아 
     거주요건이 충족되어야 1주택 비과세 적용이 가능합니다.  
     소득세법상 취학 등 부득이한 사유가 있다면 세대원 일부만 거주하여도   
     거주요건은 충족되는 것이나, 대상 학교에서 초등학교 및 중학교를 제외하고 있으므로
     전세대원이 거주하지 않는 이상 거주요건을 충족한다고 볼 수 없습니다.  
    => 증가된 부수토지 면적만큼은 1세대 1주택 비과세가 불가능 합니다.  
           
[사실관계]        
           
1) 2012.02.03 000님 00구 00동 빌라 취득(건물 면적 : 62.37㎡, 토지 면적 : 35.6㎡)  
2) 2017.08.03 00 전지역 조정대상지역 지정  
3) 2019.04.03 관리처분인가로 조합원입주권으로 변경(건물 면적 : 74.95㎡, 토지 면적 : 41.05㎡)  
4) 2024년 말 준공인가 예정      
5) 해당 주택에 거주사실 없음-> 초등학교 자녀 학업상의 이유로 배우자, 자녀를 제외한  
    000님만 해당 주택에 전입 예정    
           
[쟁점 1] 원조합원일 경우 신규주택 취득시기  
           
 (1) 관리처분계획인가에 따라 원조합원이 취득한 신축주택은 종전주택의 연속으로 보며,
      신축주택의 취득시기는 구주택을 취득한 때입니다.  
           
 (2) 단, 당초 주택부수토지 면적보다 증가한 부수토지 면적은 새로운 취득으로 보아,  
      증가한 부수토지 면적의 취득시기는 건물의 준공일이 됩니다.(부동산거래관리-1538)
     (비교. 증가한 건물면적의 취득시기는 구주택을 취득한 때로 동일)  
           
[쟁점 2] 학업상의 이유로 세대원 일부만 거주시 거주요건 충족 여부  
           
 (1) 소득세법시행규칙 제71조[1세대 1주택의 범위] 3호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취학, 근무상의 형편, 질병의 요양, 그 밖에 부득이한 사유"란
     세대의 구성원 중 일부또는 세대전원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로  
      다른 시ㆍ군으로 주거를 이전하는 경우를 말한다.  
        1. 초ㆍ중등교육법에 따른 학교(초등학교 및 중학교를 제외한다) 및 고등교육법에 따른 학교에의 취학
           
 (2) 000님의 경우 초등학교 및 중학교 취학상의 사정으로 세대원 일부만 거주하는 상황이므로
      1세대 1주택 비과세 거주요건을 충족했다고 볼 수 없습니다.  
           
☞ 증가한 부수토지 면적만큼은 거주요건을 충족하지 못하여 1세대 1주택 비과세가 불가합니다.
           
 ※ 증가한 부수 토지의 양도차익 계산※  
1) 증가된 부수토지의 양도차익     
   = 청산금납부분 양도차익*증가된 토지의 기준시가/(증가된 토지 기준시가+건물 기준시가)  
   (재산-3428, 2018.10.23)      
           
2) 장기보유특별공제 계산 및 단기보유 세율 적용여부 판단시,  
    보유기간은 사용승인일부터 계산합니다.  
           
           
Posted by 박정규 세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