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2024. 6. 4. 23:00
000님 상속세 계산(안) 세무사 3인 검토  
 
                         
Ⅰ. 피상속인 등 정보                        
                         
피상속인 상속인 상속개시일(사망일) 신고기한  
000
(상속개시일 현재 거주자)
배우자 000 2023년 11월 02일 2024년 05월 31일  
직계비속① 000  
직계비속② 000  
                         
Ⅱ. 상속재산                     단위 : 원  
                         
상속재산 재산평가액 비고  
부동산(단독주택 및 토지)                                                 264,221,980  관련 자료 후첨   
금융자산(예금 및 보험금)                                                 234,035,598  
금융자산(주식)                                                   15,539,347  
합계                                                 513,796,925 -  
                         
Ⅲ. 상속개시일 전 피상속인이 증여한 재산                 단위 : 원  
                         
증여재산* 증여일 수증일 재산평가액 과세표준 증여세 산출세액  
  - -  -  - -  
                         
Ⅳ. 채무∙공과금∙장례비용                   단위 : 원  
                         
구분 종류 금액 비고  
공과금 -  -  -  
장례비용 장례식장 및 자연장지 등                                            9,605,300 영수증有  
채무** 금융채무                                            1,588,521 농협 마이너스통장 잔액  
합계                                           11,193,821    
                         
Ⅴ. 특이사항                        
                         
1. 상속재산 중 부동산 가액은 감정평가를 진행하지 않아 기준시가를 적용하였습니다.              
2. 보험금 및 예금액에 대하여 금융재산상속공제 적용하였습니다.                  
3. 안심상속원스톱서비스 상 대출 잔액은 11,268,521원이나 피상속인이 생전에 채무 상환하였다고 전달받았으며 채무공제 적용 불가함을 안내드렸습니다.  
4. 안심상속원스톱서비스 상 예금 잔액이 상속인이 주신 자료보다 3,956원 크므로, 안심상속 금액을 상속개시일 현재 예금잔액으로 반영하였습니다.  
                         
Ⅵ. 상속세 계산                     단위 : 원  
                         
구분 금액 비고  
(1) 총 상속재산가액                                                        513,796,925 부동산+보험금+예금+주식  
(2) 상속개시전 처분재산 등 산입액                                                                       -    
(3) 채무 등 공제금액                                                          11,193,821 공과금 장례비 등  
(4) 사전 증여재산가액                                                                       -    
(5) 상속세 과세가액                                                        502,603,104 =(1)+(2)-(3)+(4)  
(6) 상속공제액                                                  1,046,807,119.60 일괄공제+배우자상속공제+금융재산상속공제  
(7) 상속세 과세표준                                                                       - =(5)-(6)  
(8) 세율 10%    
(9) 상속세 산출세액                                                                       - =(8)*10%  
(10) 세액공제                                                                       - 증여세액공제  
(11) 신고세액공제                                                                       - ={(10)+(11)}*3%공제율  
(12) 차가감납부할 세액                                                                      -    
                         
Ⅶ. 상속인별 상속재산                      
                         
상속인 주택 토지 보험금 예금 주식 상속비율 상속재산가액 합계  
 배우자  000     124,000,000                 116,171,000                           -                   -                   - 46.74%                                   240,171,000  
 직계비속①  000                    -                   24,050,980              14,958,199     102,059,600        7,769,674 28.97%                                   148,838,453  
 직계비속②  0000                    -                                -              14,958,199     102,059,600        7,769,674 24.29%                                   124,787,473  
합계액     124,000,000                 140,221,980              29,916,398     204,119,200      15,539,347 100.00%                                   513,796,925  
                         
                         
Ⅷ. 재산 및 공제 상세내역                      
                         
1. 부동산                        
                         
(1) 단독주택                        
        단위 : 원 단위: m2          
소재지 종류 개별주택가격 대지면적 건물연면적 가격기준연도 상속인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입석2길 66-14 단독주택                 124,000,000 428 85.06 2023.01.01. 동영신  
                         
(2) 토지(8필지)                        
                    단위 : 원    
소재지  개별공시지가  상속인 소재지 개별공시지가 상속인  
상하면 용대리 282-5                               126,000 -  상하면 하장리 960-6                        163,800  000   
상하면 용대리 307-5                               255,300  상하면 용대리 산 79-1                      2,223,880  
상하면 용대리 307-6                               429,200  상하면 용대리 282-3                      2,008,800  
 수동면 입석리 223-18                               543,400 동영신  홍농읍 월암리 67-1                      7,032,000  
 수동면 입석리 223-41                         110,167,200  춘천시 삼청동 299-55                    12,622,500  
 수동면 입석리 223-46                            5,460,400  총 합계액                   140,221,980    
                         
**용대리 토지 3필지는 등기부등본상 이름(000-피상속인의 아버지)만 있고, 주민등록번호는 없습니다. 토지대장상에는 000님 이름과 000님 주민등록번호가 기재되어있습니다.  
  원스톱서비스를 통해 상속인의 부동산 내역을 받아보았으나, 용대리 필지는 000님의 토지가 아니므로 상속재산에서 제외하였습니다.       
  이 행정상의 오류는 상속인들이 토지등기부등본을 기준으로 관할 군청에 요청하여 000님의 주민등록번호를 토지대장상에서 삭제토록 해야합니다.     
                         
2. 보험금                     단위 : 원  
                         
구분 계약자 피보험자  보험금 지급액  비고  
보험금 ① 000 000                                                                          6,133,211  상속재산   
보험금 ② 000 000                                                                              12,390  상속재산   
보험금 ③ 000 000                                                                              56,645  상속재산   
보험금 ④ 김0 000                                                                            310,100  상속재산   
보험금 ⑤ 000 000                                                                              22,884  상속재산   
보험금 ⑥ 000 000                                                                          3,381,168  상속재산(보험료 대납)   
보험금 ⑦ 000 000                                                                        20,000,000  상속재산(보험료 대납)   
상속재산에  포함하는 보험금 합계                                                                        29,916,398    
                         
3. 예금                     단위 : 원  
                         
구분 금액 비고  
광주은행                                                                                     2,055 상속개시일
2023.11.02 기준
&
안심상속원스톱서비스
금액을 기준으로 작성함
 
수협은행                                                                                           1  
스탠다드차타드                                                                                     2,949  
우리은행                                                                                           1  
농협                                                                             204,109,146  
지역농협                                                                                     2,815  
하나은행                                                                                           -  
신한은행                                                                                     1,069  
농협                                                                                     1,164  
합계                                                                             204,119,200  
                         
4. 비상장주식                     단위 : 원  
                         
구분 금액(원) 비고  
비상장주식(오상헬스케어)                                                                              15,539,347 상세내용 후첨  
합계                                                                              15,539,347  
                         
5. 장례비용                     단위 : 원  
                         
구분 금액(원) 비고  
 장례식장 등                                                                                8,705,300 영수증有  
 봉안시설 또는 자연장지                                                                                  900,000  
합계                                                                                9,605,300  
                         
***상기 의견서는 현재(2023-12-31) 시행된 법령을 근거로 작성되었습니다.  
                         
                         
• 법령 및 해석                                            
                                               
 상속세법 제8조 【상속재산으로 보는 보험금】                                  
  ① 피상속인의 사망으로 인하여 받는 생명보험 또는 손해보험의 보험금으로서 피상속인이 보험                        
      계약자인 보험계약에 의하여 받는 것은 상속재산으로 본다.                                
  ② 보험계약자가 피상속인이 아닌 경우에도 피상속인이 실질적으로 보험료를 납부하였을 때에                        
      는 피상속인을 보험계약자로 보아 제1항을 적용한다.                                        
                                               
 재산세과-418 【보험금 지급사유가 발생하기 전에 보험료납부자가 사망한 경우 상속재산 평가방법】                    
   보험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보험금의 상속・증여 규정이 적용되지 않으며, 피상속인이 납부한 보험료 상당                    
   액은 상속재산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는 상속개시일까지 피상속인이 납부한 보험료의 합계액과 납부한 보험료에 가                    
   산되는 이자수입상당액을 합계하여 평가하는 것임                                  
   다만, 상속인이 상속개시후에 당해 보험계약을 해지하고 수령 하는 해약환급금을 상속재산의 가액으로 하여 상속세를                   
   신고하는 경우에는 그 해약환급금 상당액으로 평가                                          
                                               
 상속세법 제22조 【금융재산 상속공제】                                    
  ① 거주자의 사망으로 상속이 개시되는 경우로서 상속개시일 현재 상속재산가액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금융재산의 가액에서 대통령령으              
     로 정하는 금융채무를 뺀 가액(이하 이 조에서 "순금융재산의 가액"이라 한다)이 있으면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금액을 상속세 과세가              
     액에서 공제하되, 그 금액이 2억원을 초과하면 2억원을 공제한다.                              
    1. 순금융재산의 가액이 2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그 순금융재산의 가액의 100분의 20 또는 2천만원 중 큰 금액                    
    2. 순금융재산의 가액이 2천만원 이하인 경우: 그 순금융재산의 가액                              
                                               
 상속세법 제60조 【평가의 원칙 등】                                       
  ① 이 법에 따라 상속세나 증여세가 부과되는 재산의 가액은 상속개시일 또는 증여일(이하 "평가기준일"이라 한다) 현재의 시가(時價)에 따른다.            
  ② 제1항에 따른 시가는 불특정 다수인 사이에 자유롭게 거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통상적으로 성립된다고 인정되는 가액으로 하고 수용가격ㆍ공매가격          
      및 감정가격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가로 인정되는 것을 포함한다.                          
  ③ 제1항을 적용할 때 시가를 산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해당 재산의 종류, 규모, 거래 상황 등을 고려하여 제61조부터 제65조까지에 규정된 방법으로          
      평가한 가액을 시가로 본다.                                      
                                               
 상속세법 시행령 제49조 【평가의 원칙등】                                    
  ①법 제60조제2항에서 "수용가격ㆍ공매가격 및 감정가격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가로 인정되는 것"이란 상속개시일 또는 증여일(이하 "평가기준일"이라 한      
     다) 전후 6개월(증여재산의 경우에는 평가기준일 전 6개월부터 평가기준일 후 3개월까지로 한다. 이하 이 항에서 "평가기간"이라 한다)이내의 기간 중 매매ㆍ감정ㆍ수      
     용ㆍ경매(「민사집행법」에 따른 경매를 말한다. 이하 이 항에서 같다) 또는 공매(이하 이 조 및 제49조의2에서 "매매등"이라 한다)가 있는 경우에 다음 각 호의 어느 하      
     나에 따라 확인되는 가액을 말한다.                                       
        1. 해당 재산에 대한 매매사실이 있는 경우에는 그 거래가액                                
         그 감정가액의 평균액.                                        
        3. 해당 재산에 대하여 수용ㆍ경매 또는 공매사실이 있는 경우에는 그 보상가액ㆍ경매가액 또는 공매가액.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경매가액 또는 공매가액은 이를 제외한다.
  ④제1항을 적용할 때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해당 재산과 면적ㆍ위치ㆍ용도ㆍ종목 및 기준시가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다른 재산에 대한 같은 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      
     당하는 가액[법 제67조 또는 제68조에 따라 상속세 또는 증여세 과세표준을 신고한 경우에는 평가기준일 전 6개월부터 제1항에 따른 평가기간 이내의 신고일까지의 가      
     액을 말한다]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가액을 법 제60조제2항에 따른 시가로 본다.                          
                                               
 상속세법 시행규칙 제15조 【평가의 원칙등】                                    
  ③ 영 제49조제4항에서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해당 재산과 면적ㆍ위치ㆍ용도ㆍ종목 및 기준시가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다른 재산"이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재산을 말한다.    
     1. 「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동주택가격(새로운 공동주택가격이 고시되기 전에는 직전의 공동주택가격을 말한다. 이하 이 항에서 같다)이 있는 공동주      
        택의 경우: 다음 각 목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주택. 다만, 해당 주택이 둘 이상인 경우에는 평가대상 주택과 공동주택가격 차이가 가장 작은 주택을 말한다.        
         가. 평가대상 주택과 동일한 공동주택단지(「공동주택관리법」에 따른 공동주택단지를 말한다) 내에 있을 것                    
         나. 평가대상 주택과 주거전용면적(「주택법」에 따른 주거전용면적을 말한다)의 차이가 평가대상 주택의 주거전용면적의 100분의 5 이내일 것            
       다. 평가대상 주택과 공동주택가격의 차이가 평가대상 주택의 공동주택가격의 100분의 5 이내일 것                      
   2. 제1호 외의 재산의 경우: 평가대상 재산과 면적ㆍ위치ㆍ용도ㆍ종목 및 기준시가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다른 재산                  
                                               
 법령해석과-777 【증여세 신고 후 확인된 유사매매사례가액의 시가인정 여부】                          
    시가로 보는 유사매매가액은 상속세 또는 증여세 과세표준을 신고한 경우 평가기준일 전 6개월부터 평가기간 이내의 신고일까지 매매계약이 체결된 가액을 말하는 것임      
                                               
 상속세법 제10조 【상속재산으로 보는 퇴직금 등】                                  
  피상속인에게 지급될 퇴직금, 퇴직수당, 공로금, 연금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피상속인의 사망으로 인하여 지급되는 경우 그 금액은 상속재산으로 본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은 상속재산으로 보지 아니한다.                                  
 1. 「국민연금법」에 따라 지급되는 유족연금 또는 사망으로 인하여 지급되는 반환일시금                          
 2. 「공무원연금법」, 「공무원 재해보상법」 또는 「사립학교교직원 연금법」에 따라 지급되는 퇴직유족연금, 장해유족연금, 순직유족연금, 직무상유족연금, 위험직무순직유족연금, 퇴직유족연금부가금
    퇴직유족연금일시금, 퇴직유족일시금, 순직유족보상금, 직무상유족보상금 또는 위험직무순직유족보상금                      
                                               
                                               
Posted by 박정규 세무사